강원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원 FC는 2008년 창단하여 2009년 K리그에 참가한 강원도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이다. 2009년 K리그 첫 시즌을 13위로 마쳤으며, 2013년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되었다가 2016년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다시 K리그1으로 승격했다. 2017년에는 상위 스플릿에 진입하며 역대 최고 순위인 6위를 기록했고, 2024년에는 구단 최초로 리그 준우승을 달성했다. 현재 홈 경기장은 강릉종합경기장과 춘천송암스포츠타운 주경기장을 사용하며, 클럽하우스는 강릉시에 위치한 오렌지하우스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천시의 축구단 - 춘천시민축구단
2009년 창단하여 K3리그에서 시작, 준우승과 플레이오프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둔 춘천시민축구단은 K4리그로 강등 후 K3리그로 복귀하여 송암스포츠타운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축구단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스포츠 - 현대 유니콘스
현대 유니콘스는 현대전자가 태평양 돌핀스를 인수하여 1995년 창단, KBO 리그에서 4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나, 모기업의 재정난으로 2008년 해체 후 선수단은 키움 히어로즈로 재창단되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스포츠 - 원주 DB 프로미
원주 DB 프로미는 1996년 창단하여 여러 팀명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KBL 챔피언 결정전 3회 우승과 정규 시즌 6회 우승을 기록한 대한민국의 프로 농구단이다. - 강원 FC - 춘천송암스포츠타운
춘천송암스포츠타운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스포츠 시설 단지로, 축구와 육상 주경기장, 보조경기장, 테니스장, 국궁장, 야구장, 빙상장 등 다양한 종목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주경기장은 강원 FC와 춘천시민축구단의 홈 구장으로 사용된다. - 강원 FC - 강릉종합운동장
강릉종합운동장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강원 FC와 강릉시민축구단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며, 2018년 동계 올림픽 기간에는 컬링 경기장으로도 활용되었다.
강원 FC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강원도민프로축구단 |
창단 | 2008년 |
홈 경기장 | 춘천송암스포츠타운 강릉종합운동장 |
소유주 | 강원특별자치도 |
구단주 | 김진태 |
감독 | 정경호 |
리그 | K리그1 |
시즌 | 2024 시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정보 | |
별칭 | 해당 없음 |
약칭 | 해당 없음 |
연고지 | 강원특별자치도 |
대표이사 | 김병지 |
총괄단장 | 정철환 |
2. 역사
wikitext
2008년 4월 28일, 강원도의 김진선 도지사는 K리그에 참가할 15번째 프로 축구 클럽 창단 계획을 발표했다.[1] 2008년 6월 18일, 창단을 돕기 위해 "강원도 축구단 창단 준비 위원회"가 구성되었다.[2] 2008년 11월 17일, 14명의 선수가 강원 FC에 합류하면서 준비가 충분히 진척되었다. 2008년 11월 20일, 강원 FC는 2009 K리그 드래프트에서 9명의 선수를 포함하여 총 23명의 선수로 첫 번째 완전한 선수단을 구성했다.[3] 강원 FC는 2009년 K리그에 참가하기 위해 2008년 12월 18일에 공식적으로 창단되었다.
강원 FC는 2009년 3월 8일 제주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강릉종합운동장에서 역사상 첫 K리그 경기를 치렀으며, 윤준하의 결승골로 1–0으로 승리했다. 팀은 연승 행진을 이어가며 2009 K리그 시즌 전반기에 센세이션을 일으켰다.[4] 강원은 초반의 성공을 유지하지 못하고 19라운드에 리그 하위권으로 떨어졌다. K리그 첫 시즌을 15개 클럽 중 13위로 마쳤다.
2009년 대한민국 FA컵에서 강원은 32강전에 참가하여 2–2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첫 상대인 인천 코레일 FC를 꺾었다. 이어서 전남 드래곤즈와 대결하여 1–0으로 패했다. 2009년 대한민국 리그컵에서는 단 한 번의 승리(대전 시티즌 상대로)만을 거두며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강원 FC는 2010년 시즌에 어려운 시기를 보냈으며, 주 공격수 김영후가 리그에서 13골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15개 클럽 중 12위로 시즌을 마쳤다. 2011년 시즌은 창단 이후 최악의 시즌이었다. 강원은 리그에서 최하위를 기록했고, 팀 전체가 30경기에서 14골만을 기록했다.
2012년 시즌, K리그는 새로운 승강제 구조를 도입했다: 상위 리그의 하위 두 팀은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43라운드에서 강원은 백종환의 결승골로 성남 일화 천마와의 원정 경기에서 승리하며 강등을 면했고, 승점 1점 차로 상위 리그에 잔류했다.[5]
2013 K리그 클래식 시즌에는 K리그가 하위 두 팀의 자동 강등과 하위 세 번째 팀이 2013 K리그 챌린지 우승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는 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했고, 강원은 리그에서 세 번째로 낮은 순위로 시즌을 마쳤으며, 플레이오프에서 상주 상무 피닉스에 1, 2차전 합산 점수에서 패배하여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되었다.[6]
2018 시즌 중반인 2018년 8월 12일, 김병수가 새로운 감독으로 임명되어, 팀을 K리그1 8위로 이끌었다.[7]
2019 K리그1 다음 시즌에는 김지현이 K리그 영플레이어상을 수상했으며, 강원은 리그 순위에서 6위를 기록했다. 김병수 감독은 2019년 첫 풀 시즌에서 "병수볼"이라는 엔터테이닝한 축구를 구사하며 칭찬을 받았다. 그 해, 강원은 K리그에서 볼 점유율, 패스 시도, 패스 성공률, 전진 패스 성공률에서 1위를 기록했고, 득점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8]
2020 시즌을 앞두고 수비 보강에 집중하여, 지난 시즌 팀의 주요 약점이었던 김병수 감독은 임채민, 신세계, 김영빈 등을 영입했다. 2020년 10월 4일 성남을 상대로 홈에서 2–1로 승리하며, 강원은 파이널 B에서 1위를 확정하고 K리그1 잔류를 확정했다.[9]
2021 시즌을 앞두고, 이전 시즌 수원의 주축 선수였던 마사, 대구 공격의 핵심이었던 신창무, 국가대표 선수인 윤석영, 임창우, 아슐마토프 등을 영입했다.[10] 2021년 3월 21일, 인천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홈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하며 시즌 첫 6경기에서 첫 승을 거두었다. 2021년 11월 3일, 포항 스틸러스에게 4–0으로 굴욕적인 패배를 당하며 K리그2 강등 위기에 놓이자, 김병수는 감독직에서 해임되었다.[8] 그의 후임인 최용수 감독 하에 강원은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대전 하나 시티즌을 1, 2차전 합산 점수에서 꺾고 상위 리그에 잔류했다.[11]
2018년에 서명 위조, 위조 여권, 이면 계약, 직장 내 괴롭힘 등 수많은 부정과 불상사가 발각되어 승격에 대한 찬사가 180도 바뀌었다. 강원 FC는 2016년에 외국인 선수를 영입할 때, 해당 국가의 축구 협회가 국제 이적 동의서(ITC)에 서명 및 전 소속팀의 이적 합의서 팀 서명을 위조한 사실이 밝혀졌다. 2018년에는 병역 의무 중인 선수와의 이적 합의를 금지하는 규정을 위반하는 이면 계약이 발각되었다. 조선일보는 국제 축구 연맹(FIFA)에 의한 징계 처분, 최악의 경우 일정 기간 선수 이적 금지 처분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2. 1. 창단 (2008)
1987년 8개팀 프로리그 실현설 당시 강원산업 등이 강원도 연고 프로축구팀 창단 물망에 올랐으나[32] 무산됐다. 이후 2008년 4월 28일, 김진선 강원도지사가 K리그의 15번째 구단으로 축구단 창단을 발표했다.[33] 2008년 6월 18일, 창단을 돕기 위해 "강원도 축구단 창단 준비 위원회"가 구성되었다.[34][2] 2008년 11월 5일 프로축구연맹 이사회에서 강원의 창단을 승인하였다.[35]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의 최순호 감독이 강원의 초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36] 2008년 11월 17일, 14명의 선수가 강원 FC에 합류하면서 준비가 충분히 진척되었다. 2008년 11월 20일, 강원 FC는 2009 K리그 드래프트에서 9명의 선수를 포함하여 총 23명의 선수로 첫 번째 완전한 선수단을 구성했다.[37] 2008년 12월 18일 창단식을 거행하고 공식 출범하였다.[38]2. 2. 초창기 (2009-2010)
2009 시즌 강원 FC는 2008년 4월 28일 강원도의 김진선 도지사가 K리그에 참가할 15번째 프로 축구 클럽 창단 계획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1] 창단을 돕기 위해 2008년 6월 18일 "강원도 축구단 창단 준비 위원회"가 구성되었고,[2] 2008년 11월 17일, 14명의 선수가 강원 FC에 합류하였다.[3] 2008년 11월 20일, 2009 K리그 드래프트에서 9명의 선수를 포함하여 총 23명의 선수로 첫 번째 완전한 선수단을 구성했으며,[3] 2008년 12월 18일 공식적으로 창단되었다.[3]창단 첫 해, 강원 FC는 외국인 선수 없이 한국인 선수단으로만 시즌을 진행할 계획이었으나, 아시아쿼터제로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에서 오하시 마사히로를 영입하였고,[39] 이후 4월에는 브라질에서 까이용을 영입하였다.[40] 2009년 3월 8일 강릉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K리그 첫 경기에서 윤준하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고,[41] 두 번째 경기인 FC 서울과의 원정 경기에서 2-1 역전승을 거두며 돌풍의 주역으로 떠올랐다.[42]
최순호 감독의 지휘 아래 공격적인 축구를 펼친 강원 FC는 42득점을 기록하며 K리그에서 네 번째로 많은 득점을 올렸지만, 가장 많은 실점을 기록하며 첫 시즌을 13위로 마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팬들은 화끈한 공격 축구에 매료되었고, 내셔널 리그 출신의 김영후는 K리그 공격 포인트 1위를 기록하며 신인상을 수상했다.[43] 2009년 대한민국 FA컵에서는 32강전에서 코레일 FC를 승부차기 끝에 꺾었으나, 전남 드래곤즈에 1-0으로 패배했다. 2009년 대한민국 리그컵에서는 대전 시티즌을 상대로 단 1승만을 거두며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2010 시즌 강원은 하위권을 맴돌았다. 10라운드에 10위까지 올랐으나 이후 순위 상승에 실패했다. 여름 이적 시장에서 헤나토와 바제 일리요스키를 영입했지만 큰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고, 최종 리그 순위는 12위로 마감했다. FA컵에서는 첫 경기인 16강에서 대전 한국수력원자력에 패배했고, 리그컵에서도 조별 리그에서 4전 전패로 탈락했다.
2. 3. 흔들리는 강원 (2011-2012)
2011 시즌 강원 FC는 초반 4연패 후 최순호 감독이 자진 사퇴하는 등[44]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김상호 수석 코치가 감독으로 부임했으나,[45] 7라운드까지 승점을 얻지 못했고, 첫 득점도 7라운드 인천전에서 나왔다. 8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와 비기며 첫 승점을 획득했지만, 12라운드까지 1승도 거두지 못했다. 리그 컵 조별 리그에서 광주를 5-0으로 대파한 것이 유일한 승리였다. 13라운드에서 부산 아이파크를 1-0으로 꺾고 리그 첫 승을 신고했는데,[46] 이는 216일 만의 승리였다.[46] 이후 두 경기에서 더 승리하며 시즌 총 3승, 30경기 14골이라는 저조한 성적으로 시즌을 마감했다.[47]승강제가 도입된 2012 시즌을 앞두고 강원은 배효성, 김명중, 김은중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보강했다. 초반에는 2라운드에 6위를 기록하는 등 선전했지만, 시즌이 진행될수록 부진에 빠져 18라운드 이후 김상호 감독과 코칭 스태프가 사퇴했다.[48] 이 과정에서 남종현 대표이사가 선수들 앞에서 잔여 연봉 포기 각서를 쓰게 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48] 이을용 스카우트와 전환철 스카우트가 코치로 보직을 변경했고, 이민성, 김태수, 강릉시청 GK코치가 합류했다.[49] 이후 김학범 감독이 부임하여[50] 2012년 11월 28일 성남을 1-0으로 꺾고 1부 리그 잔류를 확정지었다.
2. 4. 강등과 승격 (2013-2016)
승강제가 실시된 2013 시즌 강원 FC는 10경기 연속 무승을 기록하다 5월 12일 성남을 2-1로 이겼으나, 이후에도 부진이 이어져 22라운드 이후 김학범 감독이 사퇴하였다.[6] 김용갑 감독 부임 이후 7승을 기록하며 잔류를 노렸으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며 강등되었다.[6]2014 시즌에는 아르투르 감독 체제에서 초반 부진을 겪었으나, 이후 반등하여 3~5위를 오갔다. 9월, 선수단과의 마찰로 아르투르 감독이 경질되고 박효진 코치가 감독 대행을 맡았다. 정규 시즌 3위로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광주 FC에 패하며 승격에 실패했다.
2015 시즌에는 최윤겸 감독이 부임하였다. 개막 후 2연패를 당했으나, 3라운드 부천 FC 1995전에서 4:0으로 승리하며 시즌 첫 승을 기록했다. 5월 13일 서울 이랜드 FC를 4:2로 이겼으나, 5월 24일 수원 FC에 1:2로 패하며 최하위로 떨어졌다. 결국 시즌 7위로 승격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016 시즌에는 송유걸, 심영성, 오승범, 파체코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보강했다. 여름 이적시장을 통해 세르징요, 박희도, 마라냥, 루이스를 영입하고, 파체코를 방출했다. 8월 10일 부산 아이파크와의 홈경기에서 메인 스폰서의 광고 후원금 미지급 문제로 유니폼 전면 광고를 가리는 블랙아웃을 시행했으나[51], 9월 3일 FC 안양과의 경기에서 철회했다.[52] 10월에는 구단 직원의 배임 및 횡령, 신인 선수 선발 비리 의혹으로 검찰 수사가 시작되었고,[53] 세르징요의 위조 여권 사용 혐의로 경찰 조사가 진행되며 논란이 일었다.[54] 리그 4위를 기록하며 준플레이오프에 진출, 부산 아이파크와 부천 FC 1995를 꺾고 성남 FC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55] 강릉종합경기장에서 열린 1차전에서 0:0, 탄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 1:1로 비겼으나,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4년 만에 1부 리그로 승격했다.[55]
2. 5. K리그 클래식 복귀와 상위 스플릿 (2017)
강원 FC는 2016년 12월 9일, 이근호를 영입한 것을 시작으로, 오범석, 이범영[56], 황진성[57], 정조국 등 국가대표 출신 선수들과 김경중, 김승용, 문창진 등 올림픽 대표팀 출신 선수들을 연이어 영입했다. 또한, 쯔엉, 박선주 등을 추가로 영입하며 갓 승격한 도민구단 답지 않은 공격적인 영입으로 화제를 모았다.[56][57] 강원은 2017 시즌 리그 3위 달성 및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을 목표로 선언하고, 홈 구장으로 알펜시아를 사용한다고 밝혔다.2017년 3월 4일 상주 상무와의 리그 첫 경기를 2:1로 승리하며 기분 좋은 출발을 알렸고, 3월 11일 FC 서울과의 홈 개막전을 치렀으나, 알펜시아의 부실한 시설로 많은 비난을 받았다. 이후 리그 초반 난타전과 패배를 겪었고, 세르징요의 위조여권 문제로 인한 국외 추방 사건도 발생했다. 하지만 광주, 인천, 대구, FC 서울, 포항, 제주를 상대로 연승을 거두며 창단 이후 K리그 클래식 최다 연승 기록인 5연승을 달성하고, K리그 클래식 3위라는 시즌 중 최고 성적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부진이 이어졌고, 8월 14일 최윤겸 감독이 성적 부진에 책임을 지고 자진 사퇴하였다. 한편, 세르징요 사태로 인해 성남과 한국프로축구연맹의 민사조정에서 조정위원들이 성남의 손을 들어주면서 K리그 클래식에 참여할 정당한 자격이 있는지 논란이 일기도 했다.
10월 1일 울산 현대전에서 무승부를 거두며 사상 처음으로 상위 스플릿에 진입하였고, 11월 2일 송경섭 전력강화팀장이 신임 감독으로 내부 승격되었다.[58] 이후 시즌 최종전인 11월 19일 울산 현대전에서 패배했지만, K리그 클래식 6위라는 사상 최고의 성적을 기록하였다.
2. 6. 김병수 감독 체제 (2018-2021)
2018년 8월 12일 김병수 전력강화부장이 내부 승격으로 감독직을 맡아 잔여 시즌을 치렀고,[59] 2018년 12월 1일 대구와의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패하며 리그 8위로 시즌을 마감하였다.2019 시즌에는 '병수볼'이라는 신조어가 나올 정도로 공격적인 전술을 앞세워 K리그1에서 14승 8무 16패를 기록, 최종 6위를 차지하였다.[8] 공격수 김지현은 2019년 연말 K리그 시상식에서 영플레이어상을 수상했다.[8]
2020 시즌을 앞두고 임채민, 신세계, 채광훈, 이병욱, 김영빈을 영입하며 수비 보강에 힘썼다.[61] 9월 20일 정규시즌 최종전 수원 삼성전에서 역전패하며 파이널 A 진출이 좌절되었으나, 파이널 B 첫 경기 부산전 승리 이후 파이널 B 선두를 유지했다. 10월 4일 성남과의 홈경기에서 승리하며 K리그1 잔류를 확정지었고,[9] 10월 31일 수원 삼성과의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패하며 리그 최종 7위로 시즌을 마감하였다. 한편, 9월 28일 대한축구협회는 10월 9일과 12일에 열리는 성인 대표팀 vs 올림픽대표팀 친선경기에 강원 FC 소속 김영빈, 이영재, 김지현이 성인 대표팀에, 이광연이 올림픽대표팀에 합류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이현식이 부상으로 제외된 이청용을 대신하여 성인 대표팀에 추가 발탁되었다.
2021 시즌에는 마사, 신창무, 윤석영, 임창우, 아슐마토프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보강했다.[62] 3월 21일 인천과의 홈경기에서 승리하며 시즌 첫 승을 기록했다. 7월 12일, 박효진 수석코치에게 불필요한 신체접촉을 한 사실이 인정되어 김병수 감독에게 제재금 4,000만 원의 중징계가 내려졌다. 이후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8월 일정이 연기되었고, 9월 수원 FC와 수원 삼성에게 연패하며 12위로 추락했다. 9월 26일 성남 FC 원정에서 패하며 3연패를 당했으나, 9월 29일 포항 스틸러스와의 홈경기에서 승리하며 연패를 끊었다. 그러나 11월 3일 포항 원정에서 0:4로 대패했고, 결국 11월 4일 김병수 감독은 해임되었다.[63][8]
2. 7. 감독 대행 체제 (2021)
2021 시즌 중, 김병수 감독은 11월 3일 포항 스틸러스에게 4–0으로 패배하며[8] 성적 부진으로 인해 11월 4일 사퇴했다. 박효진 수석 코치가 감독 대행으로 선임되었으나, 계획이 변경되어 인천 유나이티드와 파이널 B 경기부터는 김현준 코치를 중심으로 이슬기 코치, 김승안 골키퍼 코치 등이 팀을 지휘했다.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홈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한 후 이들은 팀을 떠났다.2. 8. 최용수 감독 체제 (2021-2023)
최용수 감독은 2021년 11월 16일 강원 FC의 제9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11] 감독 부임 후 첫 경기인 FC 서울과의 원정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11위를 확정했고,[11] 춘천 홈경기에서 성남 FC를 2-1로 꺾었다.[11] 2021년 승강 플레이오프에서는 1차전 원정에서 대전 하나 시티즌에게 0-1로 패했으나,[11] 2차전 강릉 홈경기에서 4-1로 승리하며 K리그1 잔류를 확정지었다.[11]하지만 2023 시즌에는 성적 부진으로 인해 최용수 감독은 경질되었고, 후임으로 윤정환 감독이 선임되었다.
2. 9. 윤정환 감독 체제 (2023-2024)
2023시즌 최용수 감독의 후임으로 윤정환 감독이 부임하여 K리그1 잔류를 이끌었다.[8][11] 2024시즌에는 양민혁, 이상헌 등의 활약에 힘입어 구단 최초로 리그 준우승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윤정환 감독은 구단과의 마찰 끝에 재계약을 하지 못하고 팀을 떠났다.3. 선수단
wikitext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2024년 7월 29일 기준.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이광연 | 대한민국 |
5 | DF | 조현태 | 대한민국 |
6 | MF | 김이석 | 대한민국 |
9 | FW | 코바체비치 | 크로아티아 |
10 | FW | 가브리엘 | 브라질 |
13 | MF | 이기혁 | 대한민국 |
14 | MF | 김대우 | 대한민국 |
15 | FW | 진준서 | 대한민국 |
17 | FW | 유인수 | 대한민국 |
18 | MF | 김강국 | 대한민국 |
19 | FW | 김경민 | 대한민국 |
21 | GK | 박청효 | 대한민국 |
22 | MF | 이상헌 | 대한민국 |
26 | FW | 박경배 | 대한민국 |
28 | FW | 조진혁 | 대한민국 |
30 | DF | 신민하 | 대한민국 |
31 | GK | 조민규 | 대한민국 |
34 | DF | 송준석 | 대한민국 |
41 | GK | 김유성 | 대한민국 |
42 | MF | 김동현 | 대한민국 |
74 | DF | 강투지 | 몬테네그로 |
90 | FW | 김형진 | 대한민국 |
97 | DF | 이유현 | 대한민국 |
DF | 이동진 | 대한민국 | |
FW | 최성민 | 대한민국 | |
DF | 권석주 | 대한민국 | |
MF | 김태환 | 대한민국 | |
FW | 성기완 | 대한민국 | |
FW | 유병헌 | 대한민국 | |
MF | 유준진 | 대한민국 | |
FW | 이지호 | 대한민국 | |
DF | 정승빈 | 대한민국 | |
MF | 황은총 | 대한민국 | |
FW | 김도현 | 대한민국 | |
DF | 최정훈 | 대한민국 | |
DF | 박수환 | 대한민국 | |
MF | 강윤구 | 대한민국 |
포지션 | 이름 | 국적 | 비고 |
---|---|---|---|
FW | 김대원 | 대한민국 | 김천 상무에서 군 복무 중 (2025년 6월까지) |
MF | 서민우 | 대한민국 | 김천 상무에서 군 복무 중 (2025년 6월까지) |
FW | 박상혁 | 대한민국 | 김천 상무에서 군 복무 중 (2025년 10월까지) |
MF | 이승원 | 대한민국 | 김천 상무에서 군 복무 중 (2025년 10월까지) |
MF | 황문기 | 대한민국 | 평창 유나이티드로 임대 |
DF | 권석주 | 대한민국 | 노원 유나이티드로 임대 (2024 시즌 종료까지) |
DF | 이동진 | 대한민국 | 파주 시민으로 임대 (2024 시즌 종료까지) |
FW | 최성민 | 대한민국 | 강릉시청으로 임대 (2024 시즌 종료까지) |
3. 1. 현재 선수 명단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12] 2024년 7월 29일 기준.[12]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이광연 | 대한민국 |
5 | DF | 조현태 | 대한민국 |
6 | MF | 김이석 | 대한민국 |
9 | FW | 코바체비치 | 크로아티아 |
10 | FW | 가브리엘 | 브라질 |
13 | MF | 이기혁 | 대한민국 |
14 | MF | 김대우 | 대한민국 |
15 | FW | 진준서 | 대한민국 |
17 | FW | 유인수 | 대한민국 |
18 | MF | 김강국 | 대한민국 |
19 | FW | 김경민 | 대한민국 |
21 | GK | 박청효 | 대한민국 |
22 | MF | 이상헌 | 대한민국 |
26 | FW | 박경배 | 대한민국 |
28 | FW | 조진혁 | 대한민국 |
30 | DF | 신민하 | 대한민국 |
31 | GK | 조민규 | 대한민국 |
34 | DF | 송준석 | 대한민국 |
41 | GK | 김유성 | 대한민국 |
42 | MF | 김동현 | 대한민국 |
74 | DF | 강투지 | 몬테네그로 |
90 | FW | 김형진 | 대한민국 |
97 | DF | 이유현 | 대한민국 |
DF | 이동진 | 대한민국 | |
FW | 최성민 | 대한민국 | |
DF | 권석주 | 대한민국 | |
MF | 김태환 | 대한민국 | |
FW | 성기완 | 대한민국 | |
FW | 유병헌 | 대한민국 | |
MF | 유준진 | 대한민국 | |
FW | 이지호 | 대한민국 | |
DF | 정승빈 | 대한민국 | |
MF | 황은총 | 대한민국 | |
FW | 김도현 | 대한민국 | |
DF | 최정훈 | 대한민국 | |
DF | 박수환 | 대한민국 | |
MF | 강윤구 | 대한민국 |
3. 2. 임대 및 군 복무 중인 선수
4. 코칭 스태프
wikitext
4. 1. 코칭스태프
5. 경영진
'''코칭 스태프'''
- 감독: 정경호
- 수석 코치: ''공석''
- 코치: 최효진, 송창호
- 골키퍼 코치: 전상욱
'''임원진'''
- 구단주: 강원도 도지사
- 대표이사
- * 김원동 (2008년 11월 11일 ~ 2011년 7월 22일)[14][15]
- * 남종현 (2011년 8월 22일 ~ 2012년 9월 19일)[16]
- * 김덕래 (직무대행) (2012년 12월 14일 ~ 2013년 5월 28일)[17]
- * 임은주 (2013년 5월 29일 ~ 2015년 12월 31일)[18][19]
- * 조태룡 (2016년 3월 4일 ~ 2018년 10월 30일)[20][21]
- * 한원석 (직무대행) (2018년 10월 31일 ~ 2018년 12월 31일)[22]
- * 박종완 (2019년 1월 1일 ~ 2020년 12월 31일)[23]
- * 이영표 (2021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24]
- * 김병지 (2023년 1월 1일 ~ 현재)[25][26]
6. 클럽 기록과 통계
wikitable
시즌 | 리그 | FA컵 | 기타 | |||||||||
---|---|---|---|---|---|---|---|---|---|---|---|---|
디비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리그 순위 | |||
2009 | 1 | 28 | 7 | 7 | 14 | 42 | 57 | –15 | 28 | 13 | R16 | 리그컵: GS |
2010 | 28 | 8 | 6 | 14 | 36 | 50 | –14 | 30 | 12 | R32 | 리그컵: GS | |
2011 | 30 | 3 | 6 | 21 | 14 | 45 | –31 | 15 | 16 | QF | 리그컵: GS | |
2012 | 44 | 14 | 7 | 23 | 57 | 68 | –11 | 49 | 14 | R16 | ||
2013 | 38 | 8 | 12 | 18 | 37 | 64 | –27 | 36 | 12↓ | R16 | ||
2014 | 2 | 36 | 16 | 6 | 14 | 48 | 50 | –2 | 54 | 3 | QF | |
2015 | 40 | 13 | 12 | 15 | 64 | 56 | +8 | 51 | 7 | R16 | ||
2016 | 40 | 19 | 9 | 12 | 50 | 33 | +17 | 66 | 4↑ | R32 | ||
2017 | 1 | 38 | 13 | 10 | 15 | 59 | 65 | –6 | 49 | 6 | R16 | |
2018 | 38 | 12 | 10 | 16 | 56 | 60 | –4 | 46 | 8 | R32 | ||
2019 | 38 | 14 | 8 | 16 | 56 | 58 | –2 | 50 | 6 | QF | ||
2020 | 27 | 9 | 7 | 11 | 36 | 41 | –5 | 34 | 7 | QF | ||
2021 | 38 | 10 | 13 | 15 | 40 | 51 | –11 | 43 | 11 | SF | ||
2022 | 38 | 14 | 7 | 17 | 50 | 52 | –2 | 49 | 6 | R16 | ||
2023 | 38 | 6 | 16 | 16 | 30 | 41 | –11 | 34 | 10 | QF | ||
2024 | 38 | 19 | 7 | 12 | 62 | 56 | +6 | 64 | 2 | R16 |
6. 1. 우승 기록
6. 1. 1. 리그
K리그1● 준우승 (1): 2024
K리그1
준우승 (1): 2024
6. 2. 역대 시즌 기록
시즌 | 리그 | FA컵 | ACL | 기타 | |||||||||
---|---|---|---|---|---|---|---|---|---|---|---|---|---|
등급[64]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순위 | ||||
2009 | 1 | 28 | 7 | 7 | 14 | 42 | 57 | -15 | 28 | 13 | 16강 | - | 리그컵: 조별리그 |
2010 | 28 | 8 | 6 | 14 | 36 | 50 | -14 | 30 | 12 | 32강 | - | 리그컵: 조별리그 | |
2011 | 30 | 3 | 6 | 21 | 14 | 45 | -31 | 15 | 16 | 8강 | - | 리그컵: 조별리그 | |
2012 | 44 | 14 | 7 | 23 | 57 | 68 | -11 | 49 | 14 | 16강 | - | ||
2013 | 38 | 8 | 12 | 18 | 37 | 64 | -27 | 36 | 12↓ | 16강 | - | ||
2014 | 2 | 36 | 16 | 6 | 14 | 48 | 50 | -2 | 54 | 4 | 8강 | - | |
2015 | 40 | 13 | 12 | 15 | 64 | 56 | +8 | 51 | 7 | 16강 | - | ||
2016 | 40 | 19 | 9 | 12 | 50 | 33 | +17 | 66 | 3↑ | 32강 | - | ||
2017 | 1 | 38 | 13 | 10 | 15 | 59 | 65 | -6 | 49 | 6 | 16강 | - | |
2018 | 38 | 12 | 10 | 16 | 56 | 60 | -4 | 46 | 8 | 32강 | - | ||
2019 | 38 | 14 | 8 | 16 | 56 | 58 | -2 | 50 | 6 | 8강 | - | ||
2020 | 27 | 9 | 7 | 11 | 36 | 41 | -5 | 34 | 7 | 8강 | - | ||
2021 | 38 | 10 | 13 | 15 | 40 | 51 | -11 | 43 | 11 | 4강 | - | ||
2022 | 38 | 14 | 7 | 17 | 50 | 52 | -2 | 49 | 6 | 16강 | - | ||
2023 | 38 | 6 | 16 | 16 | 30 | 41 | -11 | 34 | 10 | 8강 | - | ||
2024 | 38 | 19 | 7 | 12 | 62 | 56 | 6 | 64 | 2 | 16강 | - |
7. 클럽 역대 인물
wikitext
- 박종진 2009-2010
- 이을용 2009-2011
- 오하시 마사히로 2009, 2011
- 리춘유 2010
- 오재석 2011-2012
- 시마다 유스케 2012
- 김은중 2012-2013.7
- 루이스 엔히키 2016-2017
- 마라냥 2016-2017
- 키요모토 타쿠미 2019
- 코바야시 유키 2022-2022.7
7. 1. 역대 주장/부주장
주장 | 이을용 | |
---|---|---|
2010년 | 정경호 | |
2011년 | ||
서동현 | ||
2012년 | 김은중 | 배효성 |
2013년 | 전재호 | |
배효성 | ||
2014년 | 김오규 | 최요셉 |
2015년 | 이완 | |
백종환 | ||
2016년 | 이한샘 | |
2017년 | 이근호 | |
2018년 | 정조국 오범석 | 이근호 김승용 김오규 |
2019년 | 오범석 / 임채민[65] | 김오규 / 한국영[66] |
2020년 | ||
2021년 | 임채민 | 한국영 |
2022년 | 김동현 | 임창우 |
2023년 | 임창우 | 서민우 |
한국영 | 윤석영 김대원 김대우 | |
2024년 | 한국영 | 김영빈 (1991년) |
2025년 |
7. 2. 역대 감독
강원 FC의 역대 감독은 다음과 같다. 취임은 공식 취임식 일자이며 취임식이 없거나 미상인 경우 공식 선임 일자를 기재한다.순번 | 이름 | 취임 | 사임 | 재임시즌 | 승 | 무 | 패 | 비고 |
---|---|---|---|---|---|---|---|---|
1대 | 최순호 | 2008/11/16 | 2011/04/06 | 2009–2011 | 17 | 14 | 40 | |
2대 | 김상호 | 2011/04/07 | 2012/07/01 | 2011–2012 | 8 | 8 | 32 | |
3대 | 김학범 | 2012/07/09 | 2013/08/10 | 2012–2013 | 11 | 14 | 22 | |
4대 | 김호영 | 2013/08/14 | 2013/12/10 | 2013 | 7 | 3 | 8 | |
5대 | 아르투르 베르나르지스/아르투르 베르나르지스pt | 2013/12/23 | 2014/09/18 | 2014 | 11 | 6 | 10 | |
대행 | 박효진 | 2014/09/18 | 2014/12/25 | 2014 | 5 | 0 | 5 | |
6대 | 최윤겸 | 2015/01/05 | 2017/08/14 | 2015–2017 | 44 | 30 | 36 | |
대행 | 박효진 | 2017/08/14 | 2017/11/04[68] | 2017 | 3 | 3 | 6 | |
7대 | 송경섭 | 2017/11/02 | 2018/08/11 | 2017–2018 | 7 | 6 | 10 | |
8대 | 김병수 | 2018/08/12 | 2021/11/04 | 2018–2021 | 37 | 30 | 49 | |
대행 | 김현준 | 2021/11/06 | 2021/11/16 | 2021 | 0 | 1 | 0 | |
9대 | 최용수 | 2021/11/18 | 2023/06/14 | 2021–2023 | 18 | 14 | 28 | |
10대 | 윤정환 | 2023/06/19 | 2024/12/06 | 2023-2024 | 23 | 17 | 19 | |
11대 | 정경호 | 2024/12/06 | 2025- |
8. 경기장
홈경기장은 강릉종합경기장과 춘천송암스포츠타운 주경기장 2곳을 사용하고 있다.
경기장 | 이름 | 소유주 | 개장년도 | 사용시작 | 사용종료 |
---|---|---|---|---|---|
강릉종합경기장 | 강릉시 | 1984년 | 2009년 | 현재 사용 | |
춘천송암스포츠타운 주경기장 | 춘천시 | 2009년 | 2009년 | 현재 사용 | |
원주종합운동장 | 원주시 | 1980년 | 2013년 | 2017년 | |
속초종합경기장 | 속초시 | 1994년 | 2015년 | 2017년 | |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 센터 | 강원도개발공사 | 2008년 | 2016년 | 2017년 |
9. 클럽하우스
강릉시에 위치한 '오렌지하우스'가 강원 FC의 클럽하우스이다.
2008년 구단 출범과 동시에 강릉시청의 지원으로 클럽하우스 프로젝트를 추진하였고, 2010년 7월 30일 강릉시 노암동 강남축구 공원 내에 클럽하우스를 완공했다. K리그 시도민구단 중 최초로 완공된 클럽하우스로, 대지면적 2,731.11m², 연면적 1,939.56 m², 지상 3층/지하 1층 규모이다.
클럽하우스의 이름은 강원 FC의 메인 컬러인 오렌지 색상을 따서 '''오렌지하우스'''로 지어졌다.
오렌지하우스 내에는 선수단의 숙식을 위한 룸과 식당, 휴식 공간과 회의실, 의무실, 웨이트 트레이닝장 등이 마련되어 있다.
10. 엠블럼과 마스코트
클럽 마스코트는 '강웅이'이다. 2008년 12월 18일에 태백산에서 태어난 반달곰이다.
11. 유니폼
12. 클럽 관련 문화
12. 1. 서포터즈
12. 2. 캐치프레이즈
wikitable년도 | 캐치프레이즈 | |
2009 | 강원도의 힘, 강원FC | |
2010 | 무한비상 | |
2011 | 강원천하 | |
2012 | Stand up! 2012! | |
2013 | 투혼 2013 | |
2014 | Power of Belief 2014 Born Again GWFC | |
2015 | Power of GangwonFC 2015 | |
2016 | 2016 We are together | |
2017 | BEYOND KOREA | |
2018 | BEYOND KOREA, ORANGE BLOSSOM | |
2019 | BE ONE, GANGWON | |
2020 | KEEP GOING TOGETHER | |
참조
[1]
뉴스
K리그 15구단 '강원FC' 창단
http://www.segye.com[...]
Segye Ildo
2008-04-28
[2]
뉴스
강원도민 프로축구단 창단준비위
http://news.naver.co[...]
Yonhap
2008-06-18
[3]
뉴스
<종합>숭실대 임경현, 전체 1순위로 부산아이파크行...약 31% 지명돼
http://news.naver.co[...]
Newsis
2008-11-20
[4]
뉴스
강원FC 돌풍 이유 있다
http://www.kwnews.co[...]
Gangwon Ilbo
2009-06-30
[5]
뉴스
강원FC 1부리그 잔류 확정
http://news.naver.co[...]
Naver
2012-11-29
[6]
뉴스
강제강등에서 첫 승격까지, 역사가 된 상주상무
http://sports.mk.co.[...]
MK Sports
2013-12-07
[7]
뉴스
[오피셜] 강원, 신임 감독에 김병수 강화부장 선임... 송경섭 감독 계약해지
https://www.sportalk[...]
2018-08-12
[8]
뉴스
In danger of relegation, Gangwon FC fire head coach
https://en.yna.co.kr[...]
2021-11-04
[9]
뉴스
새 시즌 준비 강원FC, 올해도 돌풍 이어갈까
http://www.kado.net/[...]
2020-01-11
[10]
뉴스
새 멤버 존재감 빛난 1차 전훈…새 시즌 더 기대되는 강원FC
http://www.kwnews.co[...]
2021-02-01
[11]
뉴스
Gangwon FC rally past Daejeon to avoid K League relegation
https://www.koreatim[...]
2021-12-12
[12]
웹사이트
선수단
https://gangwon-fc.c[...]
Gangwon FC
[13]
웹사이트
K3·K4리그 대표자회의 개최...3월 7일 개막
https://www.kfa.or.k[...]
[14]
뉴스
프로聯 김원동 사무총장, 강원FC 초대 사장 선임
http://news.naver.co[...]
SpotalKorea
2008-11-11
[15]
뉴스
김원동 강원FC 사장 내정자, 이사회에서 대표이사 선임
http://news.naver.co[...]
Newsis
2008-11-14
[16]
웹사이트
강원FC 대표이사에 남종현 ㈜그래미 회장 선임
http://news.naver.co[...]
Naver
2011-08-22
[17]
웹사이트
강원 남종현사장 사표 수리, 임시대표 선임
http://news.naver.co[...]
Naver
2012-12-14
[18]
웹사이트
강원FC 신임 대표 임은주...프로구단 첫 여성 수장(종합)
http://sports.news.n[...]
Naver
2013-05-29
[19]
웹사이트
강원FC 임은주 대표이사 사퇴 발표
https://gangwon-fc.c[...]
Gangwon FC
2015-12-09
[20]
웹사이트
강원FC 대표이사에 조태룡 단장 내정
https://n.news.naver[...]
Naver
2016-03-05
[21]
웹사이트
강원 FC, 조태룡 대표이사 사퇴 발표
https://www.bestelev[...]
2018-10-22
[22]
웹사이트
조태룡 강원 FC 대표 사임 의결…대행체제로 남은 시즌 운영
https://news.sbs.co.[...]
2018-10-31
[23]
웹사이트
강원FC, 주주총회 및 이사회 열어 박종완 대표이사 선임
https://www.gangwon-[...]
2018-12-28
[24]
웹사이트
'2002 한일 월드컵 영웅' 이영표, 강원FC 대표이사 선임
https://www.gangwon-[...]
2020-12-22
[25]
웹사이트
강원FC, 제9대 김병지 대표이사 취임식 및 2023년 시무식 진행
https://www.gangwon-[...]
2023-01-02
[26]
웹사이트
'강원 동화' 강원FC, 김병지 대표이사와 재계약 발표
https://www.gangwon-[...]
2024-11-22
[27]
웹사이트
江原FC
http://www.gangwon-f[...]
2014-03-24
[28]
웹사이트
江原FC
http://www.gangwon-f[...]
2014-03-24
[29]
웹사이트
江原FC
http://www.gangwon-f[...]
2014-03-24
[30]
웹사이트
江原FC
http://www.gangwon-f[...]
2016-01-30
[31]
뉴스
サッカー:江原FCに署名偽装・裏契約・パワハラ疑惑
http://www.chosunonl[...]
2018-08-15
[32]
뉴스인용
프로축구 3개팀 늘린다...8팀 목표 빠르면 이달대 확정 ,내년실시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86-07-03
[33]
뉴스인용
K리그 15구단 ‘강원FC’ 창단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8-04-28
[34]
뉴스인용
강원도민 프로축구단 창단준비위 발족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6-18
[35]
뉴스인용
프로축구연맹, 11일 이사회서 강원FC 창단 승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11-05
[36]
뉴스
최순호 감독 , 강원FC 초대 사령탑 맡아
http://news.jkn.co.k[...]
재경일보
2011-06-17
[37]
뉴스
숭실대 임경현, 전체 1순위로 부산아이파크行…약 31% 지명돼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11-20
[38]
뉴스
K-리그 '신상' 강원FC, 공식명칭 및 엠블럼 발표
https://news.naver.c[...]
스포탈코리아
2008-12-18
[39]
뉴스
프로축구 강원FC, 브라질 용병 까이용 영입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4-24
[40]
뉴스
K리그 강원FC, J리그 오하시 영입 공식 확정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009-01-12
[41]
뉴스
강원, 1-0으로 제주 꺾고 K-리그 데뷔전 승리
https://news.naver.c[...]
스포탈코리아
2009-03-08
[42]
뉴스
강원FC, K-리그 돌풍으로 등장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9-03-15
[43]
뉴스
강원FC 김영후, 2009 K리그 신인상 수상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09-12-22
[44]
뉴스
강원 FC 최순호 강원 감독, 끝내 사임
https://news.joins.c[...]
일간스포츠
2020-08-30
[45]
뉴스
강원, 새 감독에 김상호 수석 코치...최순호 사임
http://osen.mt.co.kr[...]
OSEN
2011-04-04
[46]
뉴스
216일만에…강원FC 눈물겨운 첫 승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11-06-13
[47]
뉴스
강원FC 3승6무21패 `최악'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11-10-31
[48]
뉴스
강원 코칭스태프 경질, 속사정은?
https://sports.v.dau[...]
스포츠조선
2012-07-01
[49]
뉴스
강원FC, 월드컵 대표 출신 이민성-김태수 코치 합류
http://star.fnnews.c[...]
파이낸셜뉴스
2012-07-04
[50]
뉴스
강원FC, 새 사령탑 김학범 감독으로 결정
http://sports.donga.[...]
스포츠동아
2012-07-05
[51]
뉴스
강원FC 유니폼서 사라진 `하이원'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16-08-12
[52]
뉴스
강원FC, 스폰서 블랙아웃 철회.. 승격 위한 결단
http://star.mt.co.kr[...]
스타뉴스
2016-09-02
[53]
뉴스
프로축구 강원FC, 배임·횡령 의혹 직원 검찰수사 의뢰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10-04
[54]
뉴스
강원FC 세르징요, 위조 여권 사용 혐의로 경찰 조사
http://sports.donga.[...]
스포츠동아
2016-10-19
[55]
뉴스
강원FC,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
http://www.yonhapnew[...]
연합 포토뉴스
2016-11-20
[56]
뉴스
강원, 런던 동메달 주역 이범영 영입... 골문 강화
http://interfootball[...]
인터풋볼
2016-12-20
[57]
뉴스
강원FC, '황카카' 황진성 영입 발표 'MF 강화'
http://star.mt.co.kr[...]
스타뉴스
2016-12-20
[58]
뉴스
강원FC, 송경섭 감독 선임..."새로운 희망 보이겠다"
http://interfootball[...]
인터풋볼
2017-11-03
[59]
뉴스
강원, 신임 감독에 김병수 강화부장 선임... 송경섭 감독 계약해지
http://www.sportalko[...]
스포탈코리아
2018-08-12
[60]
뉴스
강원, 송경섭 감독과 계약 해지…김병수 감독 선임
http://joynews.inews[...]
조이뉴스24
2018-08-12
[61]
뉴스
새 시즌 준비 강원FC, 올해도 돌풍 이어갈까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20-01-11
[62]
뉴스
새 멤버 존재감 빛난 1차 전훈…새 시즌 더 기대되는 강원FC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21-02-01
[63]
뉴스
강등권 추락한 K리그1 강원, 김병수 감독 전격 경질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null
[64]
문서
소속리그 등급
[65]
문서
2020 시즌 주장
[66]
문서
2020 시즌 부주장
[67]
뉴스
강원 최윤겸 감독, 구단 역사상 리그 경기 최다 지휘 기록
http://m.sports.nave[...]
스포츠동아
2016-09-28
[68]
문서
송경섭 감독 부임 및 박효진 감독 대행
[69]
문서
하이원 리조트 광고 후원 및 블랙아웃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자존심” “생존”…뭣이 더 중헌디
전북, 짜릿한 역전승…코리아컵 결승 진출
프로축구 전북·광주, 코리아컵 결승 격돌
'이동경 1골 1도움' K리그1 김천, 수원FC에 3대 2 승리
광주, 부천 꺾고 1차전 승리…'결승행 보인다'
광주 정지훈·헤이스 앞세워 부천 2-0 제압…전북은 강원과 무승부
1위·꼴찌 빼고 다 중위권…손에 땀나는 K리그1에 변수 추가요~
이호재 결승골…포항, 안양 꺾고 3연승
ACLE 호주 원정 피한 서울·울산…강원은 멜버른 원정
지자체 지원금 따라 결정? 강원FC 홈경기 개최지 공모 논란
K리그 '폭염 탓에' 9∼10일 일부 경기 시간 늦추기로
폭염에…9~10일 프로축구 경기 시간 변경
팀도 벅찬데…바르샤·뉴캐슬 버거워
포옛 날고 김판곤은 추락…전북·울산 명가 사령탑의 희비
김진규 환상 중거리포…전북 22경기 무패
선두 전북, 리그 19경기 무패 행진
프로축구 강원 김대원, K리그 '이달의 골' 수상
지자체 운영 프로축구단 14개…올해 1200억원 투입
'송민규 결승골' 전북, 서울 꺾고 코리아컵 4강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